본문 바로가기
주린이들을 위한 방구석 애널리스트 기업 분석/방구석 애널리스트의 Portfolio

🍫허쉬(Hershey) 기업 분석: 초콜릿 왕국의 달콤한 성장!

by 방구석애널리스트 2025. 4. 2.
반응형

1. 허쉬는 어떤 기업인가?


허쉬(Hershey)는 1894년에 설립된 미국의 대표적인 초콜릿 및 스낵 제조 기업이야.

전 세계에서 가장 사랑받는 초콜릿 브랜드 중 하나로,
허쉬 키세스(Hershey's Kisses), 리세스(Reese’s),
킷캣(Kit-Kat, 미국 내 라이선스) 등 인기 제품을 보유하고 있어.

주요 사업 분야

초콜릿 제품: 허쉬 바, 키세스, 리세스 등 초콜릿
시장의 강자
스낵 및 건강 간식: 팝콘, 견과류 바, 단백질 바 등으로 포트폴리오 확장 중
음료 및 기타: 핫초코, 시럽 등 허쉬 브랜드를 활용한 다양한 제품 판매
 
허쉬는 단순히 초콜릿을 만드는 기업이 아니라, 지속적인 브랜드 확장과 M&A(기업 인수합병)를 통해 글로벌 식품업계에서 입지를 넓혀가고 있어.


2. 허쉬의 돈 버는 구조 💰

허쉬는 북미 시장에서 강력한 브랜드 인지도를 가지고
있으며, 매출 대부분이 미국과 캐나다에서 발생해.

  • 북미 시장 매출 비중: 약 90%
  • 국제 시장 매출 비중: 약 10%
  • 주요 제품군: 초콜릿(80%), 스낵(20%)


허쉬는 특히 할로윈, 크리스마스, 발렌타인데이, 부활절 같은 시즌마다 매출이 급증하는 특성이 있어.
즉, 연중 꾸준한 수요와 함께 특정 시즌에 폭발적인 매출 상승이 발생한다는 점이 강점이지.


3. 최근 재무 분석 📊

허쉬안정적인 매출 성장탄탄한 이익률을 자랑하는 기업이야.

(1) 매출과 이익

  • 2023년 매출: 약 115억 달러 (YoY +9%)
  • 영업이익: 27억 달러 (영업이익률 23% 이상)
  • 순이익: 약 19억 달러
  • ROE(자기자본이익률): 50% 이상 (매우 높은 수익성!)


(2) 부채 및 현금흐름

  • 부채비율: 약 170% (다소 높은 편이지만 안정적인 현금 창출 능력 보유)
  • 현금흐름: 연간 약 25억 달러 이상의 영업현금흐름 창출

허쉬는 높은 브랜드 충성도를 바탕으로 꾸준한 수익을 창출하는 스테디셀러 기업이라고 볼 수 있어.


5. 배당 정책 📈

허쉬는 오랜 기간 배당을 지급해 온 대표적인 배당주야.

  • 배당 수익률: 약 2%
  • 배당 성장률: 최근 5년간 연평균 8% 상승
  • 배당 성향: 50~60% 수준 (배당금 지급 후에도 재투자 가능)

특히 허쉬는 배당을 꾸준히 올려온 기업이라, 장기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배당 성장주라고 볼 수 있어.


6. 허쉬의 성장 가능성 🚀

(1) 글로벌 시장 확장

허쉬는 북미 시장을 넘어 중국, 인도, 중남미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어. 건강 간식 트렌드에 맞춰 단백질 바, 저당 스낵 등으로 카테고리를 확장하는 것도 긍정적인 요소야.

(2) M&A를 통한 포트폴리오 강화

최근 허쉬는 팝콘 브랜드(Popcorn Indiana),
건강 스낵 브랜드(ONE Brands) 등을 인수하면서 기존 초콜릿 중심에서 스낵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어.

(3) 원자재 리스크 관리

초콜릿의 주요 원재료인 코코아 가격 변동이 리스크 요인이지만, 허쉬는 장기 계약을 통해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있어.
또한 대체제를 통해서 코코아 가격 변동 리스크에 성공적으로 대응하고 있지.

 

7. 허쉬 주식, 지금 투자해도 괜찮을까? 🤔

 
허쉬 주식이 좋은 이유
✔️ 북미 초콜릿 시장의 절대 강자
✔️ 꾸준한 배당과 높은 ROE (50% 이상)
✔️ 스낵 및 건강 간식 시장 확장
✔️ 글로벌 시장 성장 가능성

⚠️ 허쉬 주식의 리스크

  • 코코아 가격 상승으로 인한 원가 부담
  • 북미 시장 의존도가 높음
  • 경기 침체 시 프리미엄 간식 소비 감소 가능성

8. 방구석 애널리스트의 투자 시점 및 견해 💥

(1) 거시 경제의 불확실성 증가로 인한
경기 방어주 선택!

  • 우크라이나vs러시아 전쟁, 트럼프의 관세 정책, AI버블, 미국 연준의 고금리에 따른 세계 경제 혼란
     

(2)  미국 내수 기업으로 관세 정책의 리스크 헷지(Hedge)

  • 무역 전쟁에서의 자율성 확보


(3)  코코아 선물 가격의 하락

  • 영업이익률 증가

(4) 높은 배당률, 성장주 과잉 투자에 따른
저평가

 
*허쉬 주가 차트

매입 시기: 25.02.01~06
⭐평단가: 145.41$(214,026 ₩)
⭐보유수량: 286주
⭐수익률: 17%

9. 결론: 허쉬는 ‘달콤한’ 투자처일까?

허쉬는 안정적인 수익성과 성장성을 갖춘 기업이야

배당을 꾸준히 늘려가면서도 글로벌 확장을 하는 허쉬는 장기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종목이라고 볼 수 있어.

다만, 단기적으로 원자재 리스크를 고려하며 접근하면 더 좋겠지!
 

반응형